하이드로켐로고

(주)하이드로켐
HOME 공지사항

온라인문의

  • 온라인문의
    CONTACT US 033-644-3849

    평일 오전9시 - 오후6시
    토,일,공휴일 휴무

    온라인문의

    [앵커] 미국이 이름 붙인

    페이지 정보

    profile_image
    작성자 sans339
    댓글 댓글 0건   조회Hit 1회   작성일Date 25-08-09 08:28

    본문

    쿠팡퀵플렉스 [앵커] 미국이 이름 붙인 '트럼프 라운드'가 본격 시작됐지만, 전 세계 곳곳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유럽산 자동차 관세율은 미국의 약속과는 달리 낮춰지지 않았고, 고율 관세를 받은 스위스는 비상입니다. 문서로 된 합의문이 없다 보니, 일본은 추가 협상을 또 벌여야 했습니다. 안다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[리포트] 미국과 합의대로라면 유럽산 자동차 관세는 기존 27.5%에서 15%로 내려가야 합니다. 하지만, 7일 상호 관세 발효 이후에도 달라진 건 없습니다.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이 내용은 누락된 데다, 미국이 언제 인하 조치를 이행할지도 불분명합니다. [시몬 슈츠/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협회 : "그 합의는 앞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그 영향이 워낙 큰데, 현재 피해액 규모가 수십억에 달하는 상황입니다."] 39%, 최악의 관세 폭탄을 맞은 스위스는 초비상입니다. 관세 발효를 하루 앞두고 대통령이 담판을 지으러 직접 미국으로 날아갔지만 빈손으로 돌아왔습니다. 트럼프 대통령은커녕 관세를 총괄하는 러트닉 상무장관도 못 만났습니다. 미국은 스위스가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,고 면박만 줄 뿐입니다. [카린 켈러주터/스위스 대통령 : "그것이 2차 협상이든 3차 협상이든, 어떤 경우에도 결정은 여전히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려 있습니다."] 일본 정부도 미국과 합의했던 상호 관세율 15%가 기존 관세에 추가되는 걸로 뒤늦게 해석되자 미국으로 달려가야 했습니다. 추가 협의 끝에 대통령령을 다시 수정하겠다는 미국의 약속을 받아내는 소동을 벌여야 했습니다. 합의만 이뤄지면 일단락될 줄 알았지만 세부 사항을 놓고 전 세계 곳곳에서 여전히 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이런 불확실성이 세계 경제를 더 휘청이게 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.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. 촬영:김은정/영상편집:이웅/자료조사:남서현■ 제보하기▷ 전화 : 02-781-1234, 4444▷ 이메일 : kbs1234@kbs.co.kr▷ 카카오톡 : 'KBS제보' 검색, 채널 추가▷ 네이버,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! [앵커] 미국이 이름 붙인 '트럼프 라운드'가 본격 시작됐지만, 전 세계 곳곳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유럽산 자동차 관세율은 미국의 약속과는 달리 낮춰지지 않았고, 고율 관세를 받은 스위스는 비상입니다. 문서로 된 합의문이 없다 보니, 일본은 추가 협상을 또 벌여야 했습니다. 안다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[리포트] 미국과 합의대로라면 유럽산 자동차 관세는 기존 27.5%에서 15%로 내려가야 합니다. 하지만, 7일 상호 관세 발효 이후에도 달라진 건 없습니다.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이 내용은 누락된 데다, 미국이 언제 인하 조치를 이행할지도 불분명합니다. [시몬 슈츠/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협회 : "그 합의는 앞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그 영향이 워낙 큰데, 현재 피해액 규모가 수십억에 달하는 상황입니다."] 39%, 최악의 관세 폭탄을 맞은 스위스는 초비상입니다. 관세 발효를 하루 앞두고 대통령이 담판을 지으러 직접 미국으로 날아갔지만 빈손으로 돌아왔습니다. 트럼프 대통령은커녕 관세를 총괄하는 러트닉 상무장관도 못 만났습니다. 미국은 스위스가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,고 면박만 줄 뿐입니다. [카린 켈러주터/스위스 대통령 : "그것이 2차 협상이든 3차 협상이든, 어떤 경우에도 결정은 여전히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려 있습니다."] 일본 정부도 미국과 합의했던 상호 관세율 15%가 기존 관세에 추가되는 걸로 뒤늦게 해석되자 미국으로 달려가야 했습니다. 추가 협의 끝에 대통령령을 다시 수정하겠다는 미국의 약속을 받아내는 소동을 벌여야 했습니다. 합의만 이뤄지면 일단락될 줄 알았지만 세부 사항을 놓고 전 세계 곳곳에서 여전히 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이런 불확실성이 세계 경제를 더 휘청이게 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.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. 촬영:김은정/영상편집:이웅/자료조사:남서현■ 제보하기▷ 전화 : 02-781-1234, 4444▷ 이메일 : kbs1234@kbs.co.kr▷ 카카오톡 : 'KBS제보' 검색, 채널 추가▷ 네이버,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! 쿠팡퀵플렉스

    댓글목록

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